인테리어음향

인테리어음향

 

‘음향 인테리어’란 미적인 디자인과 기능적인 면을 함께 고려한 실내건축 즉 인테리어를 뜻한다.

 

적용목적은 공간이 쾌적하고 조용한 환경이 되게 하는 것으로, 인테리어 음향이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장소를 말한다.

 

예를 들자면, 레스토랑, 은행로비, 공연장로비, 에어로빅 실, 빌딩로비, 호텔로비, 학교교실 및 복도, 라이브 카페, 회의실, 시사실 등 다양한 업무 공간 또는 생활공간들을 대상으로 볼 수 있다.

 

위에서 나열한 공용공간에서는 조금만 사람이 붐비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는 누구도 짐작할 수 있다. 너무 시끄러워서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음을 우리는 인식한다.

 

오죽하면 은행창구 직원이 마이크로폰을 사용하게 되었겠는가?

 

창구 앞에서도 얼굴을 바짝 마주대고 얘기해야 의사전달이 가능하다. 식당에서 주문 받을 시에도 마찬가지로 바짝 붙어서 얘기해야 정확한 주문이 가능하다.

 

서로의 대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옆 테이블보다 더 큰소리로 얘기해야 하고 옆 테이블은 또다시 목청을 높여야 의사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순식간에 잡음 환경으로 변해버리고 만다.

 

이것만 보아도 잘 알 수 있듯이, 우리는 늘 이러한 환경에 무심코 적응해 왔기 때문에 그다지 그것을 문제로서 심각하게 느끼지 못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의 미래에 난청을 가져다 줄 무서운 소음 공해라는 공공의 적이다. 정신과 육체의 건강에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는 원인이기도하다.

 

인테리어 음향은 위에서 언급한 소음을 처리할 수 있는 구조와 재질을 통해 기능적인 부분을 보완함과 동시에, 시각적으로도 아름다운 조화가 완성되도록 한다.

 

일터나 생활환경의 소음기준이 엄격히 법제화 되어있는 선진국들은, 이러한 부분에서도 많이 노력하는 것 같다.

 

손쉽게 만날 수 있는 흡음재료들은 음성주파수처럼 낮은 주파수 대역을 흡수하는데는 부족함이 있다.

 

하지만 실내 잡음을 줄이는 기능적인 효과에만 치우치다 보면 시각적 디자인이 단순화되고 의도되는 주제가 표현되지 않을 수 있.

 

따라서 매우 제한된 면적에만 특별히 디자인한 음향기구(Acoustic Tools)를 설치하고 나머지 벽, 천장 부분에 시각적 디자인 이미지를 적용할 수 있다. 인테리어 디자이너의 미적인 표현에 음향설계의 기능적인 부분을 접목하면 기능과 미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바커스틱 코리아 실제시공 |

방문자수

오늘:
91
어제:
929
전체:
983,744